천년의 맥을 이어온 안동포

안동포 천년의 맥

안동포 천년의 맥

/

우리 민족의 역사와 시작을 함께하였을 삼베, 그중 안동에서 생산된 안동포는 품질이 우수하여 조선 후기에 궁중복식의 소재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안동포의 재료인 삼, 즉 대마(大麻)는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 이전에 이미 널리 재배되어 서민들의 대표적인 옷감 재료로 사용되었습니다.
삼의 겉껍질을 제거한 속껍질을 이용하여 옷감을 짠 것을 삼베라고 하며 특히 안동에서 짠 것을 안동포라고 한다.

안동포의 제직은 삼 찌기로부터 상괴내기에 이르기까지 100번 이상의 공정을 거칩니다. 까다로운 작업이지만 안동은 삼의 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토질, 그리고 뛰어나 직조 솜씨를 지닌 인력을 갖추었기 때문에 경상도에서 생산되는 삼베, 즉 영포(嶺布) 중에서도 안동포가 으뜸이라 하였고 그러기에 안동지역의 특산물로 여겨지는 것입니다.

안동포는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우리의 전통 의생활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으며 그 제직기술은 1975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
선사시대, 방추차로 제직(製織)을 시작하다.

임하댐 발굴조사 중 청동기시대 유적인 사의동 고분군에서 방추차가 출토되었습니다. 이는 돌리면서 삼의 껍질에서 얻은 올 가닥에 꼬임을 주어 삼실을 만드는 도구입니다.

이러한 유물을 통해 선사시대부터 이미 안동지역에서 삼을 이용한 옷감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방추차] : 삼으로부터 얻은 줄기의 올실과 올실을 연결하여 꼬아서 삼실을 만드는 도구

기록으로 보는 고대의 안동포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국가의 삼베를 담당하는 ‘마전(麻典)’이라는 별도의 관청을 두었으며 신분에 따라 옷감의 곱기를 정도를 28새에서 12새까지 정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추석 즈음에는 각 지역의 여성들이 1달 동안 옷감을 짜는 내기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때 안동지역의 여성들이 참여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찍이 중국 문헌에는 우리 지역에서 옷감짜는 기술이 있었으며 백성들은 삼베로 만든 옷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런 것을 볼때 안동지역에서 삼베를 생산했을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아쉽게도 안동포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
/
/
공물과 교환 수단으로서의 삼베

고려시대의 삼베는 옷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는 기능 외에 공물(貢物), 즉 세금을 내기위한 수단, 또는 화폐와 같은 교환의 기능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14세기 초에는 한때 은병(銀甁)을 화폐로 사용하면서 삼베의 한 종류인 오종포(五綜布, 5새로 짠 삼베)를 보조화폐로 사용하도록 하였지만, 14세기 말에는 동전이나 은병 등은 사라지고 오로지 오종포만을 화폐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유물과 기록으로 확인되는 고려시대 안동포

고려시대의 삼베에 대한 기록은 많이 있으나 특별히 안동포와 관련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최자(崔滋)의 「삼도부(三都賦)」에도 안동에는 뽕나무가 우거지고 라(羅), 초(?), 릉(綾) 등의 옷감을 짠다고 하였습니다.
삼베는 너무나 기본적인 옷감이었으므로 짠다고 해도 그리 언급할 만한 것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안동시 조탑동의 5층석탑 주변에서 출토된 기와 안쪽에 찍혀 있는 삼베자국을 통해 삼베가 안동에서 여전히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기록에서 확인되는 조선시대의 안동 특산물, ‘안동포’

조선 전기「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안동대도호부의 풍속은 농사짓고 누에치기 일에 힘쓰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또 토산물 중에도 삼이나 삼베는 보이질 않고 누에고치에서 얻어지는 ‘설면(雪綿)’이 보입니다. 이는 고려시대 이후 계속 안동에서 비단이 중요한 산물이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각 지역 특산물이 자기 이름을 갖게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삼베중에서는 함경도 지역에서 짜는 북포(北布)가 최고의 상품이었습니다. 북포는 1필이 바리 안에 들어간다 하여 ‘바리포’라고도 했습니다.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삼베는 강포(江布), 영남에서 생산되는 삼베는 ‘영포(嶺布)’라고 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안동에서 짠 질 좋은 삼베를 ‘안동포’라고 불렀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1844년의 「한양가」에서 ‘안동포’라는 명칭을 처음 확인할 수 있으며, 1892년 의화군(義和君)의 관례복식을 기록해 둔 궁중 발기〔件記〕중에서 다시 ‘안동포’기록이 확인됩니다. 궁중 옷감으로도 사용되기에 이른 것입니다.

/
안동포의 명품화 시대를 열다.

1920년 경상북도 삼의 통계는 안동포의 수확고와 생산량이 7위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당시 여러 지역에서 삼이 재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1927년 간행된 이능화의 「조선여속고」에는 ‘안동포가 지금도 품질이 가장 좋다’고 적혀 있습니다. 이는 곧 안동포의 품질이 탁월하였음을 증명해 주는 기록입니다.
안동포가 일제강점기 때 대량생산 된 삼베. 1960년대 합성섬유에 의해 명맥이 끊어진 다른 지역과 달리 꾸준히 생산이 이어진 것. 그리고 1980년 이후 소비량이 다시 늘면서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게 된 것. 그 모두가 바로 이러한 명품으로서의 품질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
한국의 미와 유교적 격식을 대표하는 안동포

“유교의 고장” 안동은 윤리와 의리를 소중히 여기는 곳으로 상·제례를 엄숙하게 치릅니다. 조상을 모신 사당을 갖춘 종택과 묘제를 지내기 위한 재실이 어떤 지역보다 많아 뿌리 깊은 안동의 조상숭배전통을 볼 수 있습니다. 안동포로 지은 도포는 각종 제사에서 널리 입는 복장이었고 유림들의 공식적 모임에서도 갖추어 입어야 할 의례복장이었습니다.
이처럼 안동포는 오랜 세월에 걸친 민족의 대표 의복에 한국의 미를 잘 살리면서 유교 문화적 의미를 함께 담고 있습니다.

/
부모께 올리는 마지막 효행, 안동포

수의는 고인에게 드리는 마지막 예(豫)와 효(孝)입니다. 그래서 해를 끼치는 수의는 고인에 대한 불공(不恭)이라 하여 금기시하고 시신에 이로운 천연섬유 삼베를 선호합니다.
특히 생냉이(익히지 않은 원료사용)를 사용해 정성을 담아 짠 안동포는 시신을 보호하기 위한 후손의 정성이 담긴 것으로 여겨져 예로부터 수의로 이용되었습니다.

40年 안동포 이야기

안동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생산량이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하면서 최근 40년동안 굴록을 겪어 왔습니다.
새로운 합성 소재의 등장이 안동포의 침체기를 가져오는가 하면 자연섬유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활기를 되찾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한때는 뜻하지 않은 법적 규제로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었다가 생활여건이 나아지면서 생산량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 1960年代

    한국전쟁을 계기로 나일론이 보급된
    이후 다양한 화학섬유가 개발 ·
    보급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삼베의
    사용가치가 크게 떨어지고 수요가
    줄어들었습니다.

  • 1970年代

    대마(삼)초 흡연사건의 발생으로
    대마(삼)생산이 1976년부터
    대마(삼)관리법에 의한 허가제로 바뀜에
    따라 대마(삼)재배가 크게 줄었습니다.

  • 1980年代

    생활여건의 향상과 함께 안동포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삼베길쌈이 새롭게
    활력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안동포의 생산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명품으로서의 진가를
    발휘하게 되었습니다.